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간 일정 및 특징주 정리

2022.05.23~2022.05.27 한주간의 이슈와 테마 정리(관심종목)

by 언제나주식 2022. 5. 28.
반응형

주요뉴스

♤미국 유통업체 실적 호조 +인플레이션 완화 가능성 + FOMC 의사록 안도감 지속으로 저가 매수세 유입

   시장이 반등하니까 긍정론이 생겨나는 모습, 지표에서도 좋은 것만 취하는 모습

24일 바이든 대중 관세 완화 검토 발언              

♤중국 금리 인하

♤미국 드라이빙 시즌 원유 수요 확대 전망과 유럽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논의 우려로 인한

   공급 우려 지속에 국제유가 상승

  62일 예정된 OPEC + 회의에서 기존 증산 규모를 유지할 전망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하는 다자 경제협력체인
   '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가 공식 출범
   
미국과 한국을 비롯해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13개 국가가 참여

 

다우존스 1.76%

나스닥 3.33%

S&P 500 2.47%

반도체 4.03%

 

키워드 : 원숭이 두창, 로봇, 여름, 양자, 농업, 재건, 원전, 태양광, 위믹스, 아프리카돼지열병, 대기업 투자, 바이오

나경원 특사, 우크라이나 부총리와 재건 방안 논의

다스코

 

올해 여름 기록적 폭염 전망(여름)

위니아, 파세코, 에쎈테크, 오텍, 신일전자, 금호전기

 

양자암호

코위버(LG유플러스 올해 상반기 양자내성암호 서비스 출시 ▶
            IBM
공급사(크립토랩)·LG유플러스와 양자내성암호화모듈 개발 진행 사실 부각개발)

케이씨에스(SK텔레콤과 최고 보안 등급을 받은 케이씨에스의 칩과 결합한 '양자암호 원칩'을 개발,
                 양자암호 원칩은 KEV7 칩에 QRNG 칩을 탑재, 보안을 강화한 제품.
                SK
텔레콤은 비트리, 옥타코 등 국내 암호분야 강소기업들과 개발한 양자난수생성(QRNG) 관련
                보안 제품으로 국방·공공 사업시장에 도전할 계획
)

 

세계보건기구(WHO), 원숭이두창 경계 강화 촉구

원숭이두창, 유럽·북미 등 확산

원숭이두창은 천연두 치료제인 항바이러스 약품으로 치료가 가능

켐온, 에이비온, 에이프로젠 MED

미코바이오메드(원숭이 두창 국내 상륙시 진단키트 본격 공급)

HK이노엔(국내에서 천연두 백신을 유일하게 생산 +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필리핀 허가
                 이번 품목허가 획득으로 필리핀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 본격적인 진출
                 
및 해외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미국 제약사 콘서트파마슈티컬스가 탈모환자 모발 재생률 80%가 넘는 신약 개발
                     
▶ 동일기전인 JAK 방식 신약 후보물질 보유)

파미셀(천연두 치료제 브린시도포비르를 생산 중인 미국 키메릭스(Chimerix)
            핵심중간체 HDP-tosylate를 공급한 바 있음, FDA승인 치료제 원료 독점공급)

케스피온(백금의 고유 성질을 이용하여 공기를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로 재배출하는 기술을 통해
              공기청정살균기를 판매중)

블루베리 NFT(감염자들이 동성과 성관계를 한 사람들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콘돔과 의료용 장갑 생산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녹십자엠에스(약독화 두창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음)

큐로컴(큐로컴의 자회사인 스마젠은 과거 코로나19 DNA 백신 실험 당시 원숭이 투여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음)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진출 및 대규모 투자로 인한 낙수효과에 대한 기대

+ 현대차 그룸, 4년간 국내에 63조원 투자. “미래사업 허브로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 등 3사가 전동화·친환경, 신기술·신사업,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3사는 순수 전기차를비롯해 수소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 및 친환경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는 방침

+ 미국 UAM,로보틱스 등에 50억 달러 추가 투자 모멘텀

자동차 부품

부산주공, 경창산업, 인팩, 디와이, 대우부품

대유에이텍(전기차 전용 시트 생산 설비 구축과 연구개발(R&D)을 위한 인프라 확충)

바이브컴퍼니(현대차그룹, 전기차 배터리 성능 관리에디지털 트윈기술 시험 도입
                       ▶디지털 트윈 사업 진행 사실 부각)

수소차

우수AMS, 국일제지, 성창오토텍

로봇(서비스 로봇 고성장 전망)

에스피시스템스, 유일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

LG전자(배송, 안내, 살균 로봇 중심의 B2B 분야)

기타

러셀(반도체 수급 불균형 및 산업 자동화 트랜드 수혜 기대감)

오토앤(현대차그룹의 1호 사내 벤처로 현대차와 기아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위메이드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 생태계확장 기대감

블록체인 생태계 강화하는 위메이드, 위메이드 대표, 위믹스 5,000만원 추가매수
위메이드 위믹스팀은 전일 위믹스 공식홈페이지에 위믹스달러의 핵심 정책과 계획 등을 사전에 안내했음.
위믹스달러는 위믹스 플랫폼에 탑재된 다양한 게임 및 서비스의 거래 매체에서 사용을 촉진해
지속 가능한 안정성과 확장성을 구현하는 위믹스3.0 스테이블 코인임

게임

위메이드맥스, 컴투스홀딩스, 네오위즈홀딩스, 액션스퀘어

위메이드(AR 메타버스를 제작하는 미국 스타트업 자두(Jadu)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
               자두는 2023년까지 자체 메타버스인 '미러버스’(Mirrorverse) 플랫폼 안에서 이더리움 내
               주요3D NFT(대체불가토큰) 시리즈의 캐릭터들을 아바타화해 탑재하고, 유저들이 그 아바타를 통해
               교류하면서 게임과 이벤트 등을 열 수 있는 등의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
               해당 코인은 실물 담보 기반 USD코인(USDC) 및 실물 화폐(Fiat) 통화와 같이 온체인
               및 오프체인에 관계 없는 안전 자산을 100% 담보로 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발행
)

썸에이지(데카론M을 위메이드의 위믹스 블록체인 플랫폼에 온보딩하는 방식으로 해외 서비스 준비중)

모바일콘텐츠

디앤씨미디어, 미스터블루, HNH벅스, 키다리스튜디오

메타버스

맥스트, 옵티시스

NFT

FSN, 아프리카TV

갤럭시아머니트리(NFT·메타버스 신사업 확장 지속 기대감)

 

정책(일정)

윤정부, 탈원전 폐기 위한 에너지기본법 제정 작업 착수

GS는 향후 5년간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핵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1조원을 투자하고,
이 중 절반(48%)에 가까운 10조원을 신사업·벤처에 집중 투자한다고 밝힘.
SMR(
소형모듈형원자로)과 수소(블루암모니아), 신재생 친환경 발전 등 탈탄소시대의 미래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투자가 대거 포함됐다고 언급.

25일 두산그룹은 향후 5년간 SMR, 가스터빈, 수소연료전지 등 차세대 에너지 사업에 5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힘.

에이프로젠 MED, 에너토크, 일진파워, 우진, 광명전기

TPC(한국수력원자력, 3D프린터 통해 원전 부품(임펠러) 생산 성공 ▶ 3D프린터 사업 영위 사실 부각
        임펠러는 원자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펌프에 들어가는 2차계통 부품
       원전 3D프린터 기술로 효율성을 높인 사례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018 3D프린터로 원전용 내열소재를
       제작해 공정 속도를 약 20배 끌어올렸으며 영국은 3D프린터로 소형모듈원자로(SMR) 주요 부품을 생산해
       제작 기간을 기존 3년에서 6개월로 줄인 바 있음.)

 

정책 지원에 태양광 확대 방향 명확

SDN, 한화솔루션우, 현대에너지솔루션, OCI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 원자력 설비 비중 추월 태양광 관련주 상승

태양광

한화솔루션우, OCI,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SDN, 신성이엔지, 대명에너지, 에스에너지

풍력

씨에스베어링, 동국S&C

 

인플레

강원 홍천군 올해 첫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발생

체시스, 한일사료, 이글벳, 팜스토리, 우리손에프앤지

 

곡물가 상승세 지속 전망 및 주요국 농산물 수출 제한 우려

미국 유럽사령관 식량난 해소 위해 미군 개입해야 할 수도

미국과 우크라이나 러시아 본토 정밀 타격 검토 중

대한제당, 신송홀딩스, 사조동아원, 고려산업

 

'우크라 전쟁 여파' 말레이시아, 6월부터 닭고기 수출 중단

마니커, 하림, 마니커에프엔지, 동우팜투테이블

반응형

댓글